기도·불공·재

맑은 정성의 마음으로 부처님께 올리는
기도와 공양

기도·불공·재

기도, 오늘부터 차분히 시작하기
불교 기도를 쉽고 단정하게 실천하도록 돕는 안내서입니다. 준비물은 최소화하고, 예경–참회–독경·염불–축원–회향의 흐름을 따라 집과 도량 어디서나 5~15분 안에 시작할 수 있습니다. 새벽·오후·재일·기간·특별 기도까지 상황별 템플릿과 축원문을 제공하여, 오늘 한 문장으로 기도를 열고 공덕을 모두에게 회향하도록 이끕니다.
달마로
불공, 오늘부터 차분히 시작하기
불공은 부처님께 예를 올리고 바른 마음을 세우는 실천입니다. 공양으로 감사의 뜻을 드리고, 독경·염불로 마음을 밝히며, 축원으로 바람을 분명히 하고, 회향으로 공덕을 모두에게 나눕니다. 준비물은 간소해도 충분합니다. 향·등·물 한 그릇이면 됩니다. 집에서도 10분 절차로 시작할 수 있으며, 생일·사시·가정평안·천도 등 상황에 맞게 응용하면 좋습니다.
달마로
공양, 마음을 드러내는 가장 단정한 길
공양은 부처님께 감사와 공경을 바치는 실천입니다. 많이 차리는 의식이 아니라, 맑은 마음을 드러내는 시간입니다. 물·등·꽃처럼 간단히 준비하고, 예경 → 짧은 독경 또는 정근 → 한 줄 축원 → 회향으로 마무리하면 집에서도 5분이면 충분합니다. 물·등·향·꽃·과일·행·법공양 등 상황에 맞게 선택하되 과한 제물은 피하고, 촛불·향은 안전을 먼저 살피세요. 오늘은 물 한 그릇과 한 문장으로 시작해 보세요.
달마로
제사·차례·위패봉안, 감사·기도·회향으로 모시는 법
불교식 제사·차례·위패봉안을 쉽고 단정하게 실천하도록 돕는 안내입니다. 의미와 차이를 정리하고, 물·등·꽃 위주의 간소한 준비, 집에서 드리는 기본 절차와 5분 버전, 설·추석 차례 흐름, 위패봉안 신청·예절, 49재 연계, 상황별 카드와 축원문 모음까지 담았습니다. 과한 차림은 줄이고, 감사·기도·회향으로 마무리합니다. 촛불·향은 안전과 환기를 지키고, 채식과 절제를 권합니다.
달마로
천도재, 감사와 회향으로 보내 드리기
천도재를 쉽고 단정하게 올리도록 돕는 안내입니다. 떠난 이를 감사로 기억하고, 독경·염불로 평안한 길을 빕니다. 집과 도량 어디서나 5~10분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준비물은 물·등·꽃이면 충분합니다. 예경–참회–독경·염불–축원–회향의 흐름을 제시하고, 49재 타임라인과 상황별 카드, 짧은 축원문을 담았습니다. 과한 형식은 줄이고, 안전과 절제를 지킵니다.
달마로
49재란 무엇인가요
49재는 임종 뒤 49일 동안 7일마다 올리는 불교 의식으로, 영가가 평안한 길을 가도록 기도하고 남은 이의 마음을 위로합니다. 준비물은 물 한 그릇, 작은 등, 꽃 한 송이면 충분하며 중요한 것은 정성입니다. 반야심경 독송과 염불, 축원, 회향으로 진행하며, 사찰뿐 아니라 집에서도 간단히 드릴 수 있습니다. 49재는 단순한 추모가 아니라 감사와 다짐, 회향을 실천하는 수행입니다.
달마로